목록Language (16)
COCO World
1. 원시값과 메서드 : 자바스크립트는 원시값(문자열,숫자 등)을 마치 객체처럼 다룰 수 있게 해준다. 원시값에도 객체에서처럼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다. ** 원시값 : 원시형 값 종류로는 문자(string), 숫자(number), bigint, 불린(boolean), 심볼(symbol), null, undefined 형으로 총 7가지 ** 객체 : 프로퍼티에 다양한 종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다 {name : "Ann", age: 30} 과 같이 대괄호 {}를 사용해 만들 수 있다. 함수도 객체의 일종. [1] 원시값을 객체처럼 사용 let str = "Hello"; alert( str.toUpperCase() );// HELLO
1. 생성자 함수 : 'new'연산자와 생성자 함수를 사용하면 유사한 객체 여러 개를 쉽게 만들 수 있따 생성자 함수(constructor function)와 일반 함수에 기술적 차이는 없지만 아래 두 관례를 따른다 1. 함수 이름의 첫 글짜는 대문자로 시작한다. 2. 반드시 'new' 연산자를 붙여 실행한다. [1] 생성자 함수 function user(name) { this.name = name; this.isAdmin = false; } let user = new User("보라"); alert(user.name);// 보라 alert(user.isAdmin);// false [2] new.target과 생성자 함수 function User() { alert(new.target); } // 'new..
1. 메서드 : 자바스크립트 내에 선언한 객체 내에서 프로퍼티로 값이 아닌 함수로 정의된 것을 메서드라고 부른다 [1] 메서드 만들기 let user = { name: "Diana", age: 30 }; user.sayHi = function() { alert("안녕!"); }; user.sayHi();// 안녕! [2] 객체에 함수를 메서드로 할당하는 방법 let user = { // ... }; // 함수 선언 function sayHi() { alert("안녕!"); }; // 선언된 함수를 메서드로 등록 user.sayHi = sayHi; user.sayHi();// 안녕! [3] 메서드 단축 구문 //아래 두 객체는 동일하게 동작 user = { sayHi: function() { alert("..
1.해쉬 자료구조란? 해시(Hash) 자료구조란, 키(key)와 값(value)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구조이다. 해시 구조에서는 key를 이용하여 데이터(value)를 빠르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. - 키(key) : 해시 함수의 input이 되는 고유한 값. 키는 해시함수를 통해 해시로 변경되어, value값과 매칭되어 저장소에 저장됨. - 해시 (Hash) : 임의의 값을 고정 길이로 변환하는 것 - 해시 테이블(HashTable) : key값이 연산에 의해 직접 접근이 가능한 데이터 구조 - 버킷(bucket), 슬롯(slot) : hash Table에서 하나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공간 - 해시 함수 : key값을 이용하여 연산을 통해 데이터(value) 위치를 찾는 함수 2.자바스크립트 객체..
1 .객체 [1] 자바스크립트의 8가지 자료형 중에서 7개는 오직 하나의 데이터만 담을 수 있는 '원시형'과 다양한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'객체형'이 있다 [2] 객체는 중괄호'{}' 를 이용해 만들 수 있고, 중괄호 안에는 '키(key): 값(value)'쌍으로 구성된 프로퍼티(property)를 여러개 넣을 수 있는데, '키'에는 문자형, '값'에는 모든 자료형이 허용된다 [3] 객체를 만드는 2가지 방법 // '객체 생성자' 문법 let user = new Object(); // '객체 리터럴' 문법 -> 주로 사용 let user = {}; [4] 리터럴과 프로퍼티 let user = { name: "John", age : 30 }; // 프로퍼티 값 얻기 alert( user.name );//..
// 함수 선언문을 let func = function (arg1, arg2, ...argN) { return expression; } // 함수 축약 버전으로 let func = (arg1, arg2, ...argN) => expression // 인수가 하나 밖에 없다면 괄호 생략 가능 let double = n => n * 2; // 인수가 하나도 없을 땐 괄호를 비워두되, 생략은 불가능 let sayHi = () => alert("안녕하세요!"); sayHi(); // 화살표 함수는 함수 표현식과 같은 방법으로도 사용 가능 let age = prompt("나이를 알려주세요.", 18); let welcome = (age alert('안녕') : () => alert('안녕..
자바스크립트 기본 * 이용툴 : https://plnkr.co./edit/?p=preview&preview Plunker Plunker is loading… Today is a great day to build something. plnkr.co. 1. Statement : 문 어떤 작업을 수행하는 문법 구조와 명령어를 의미함 // 잘못된 예시 alert('Hello');alert('World); // 올바른 예 = 코드의 가독성을 위함 alert('Hello'); alert('World'); 2. semicolon : 세미콜론 // 줄 바꿈이 있으면 '암시적 세미콜론'으로 해석하여 생략 가능 // "세미콜론 자동 삽입"이라고 부름 alert('Hello') alert('World') // 예외의 경우 ..
자바스크립트의 변수 종류에는 var, let, const 3개가 있고, ES6로 오고나서부터는 var는 잘 쓰이지 않고, let과 const 를 주로 사용한다. 이유는 값이 변경되고, 문제가 발생하는 에러 관리가 편하기 때문이다. 변수 선언에는 3가지 단계와 2가지 상태를 알아야 한다. [ 단계 ] [1] 선언 단계 : 변수를 변수 실행 객체에 등록하는 단계 [2] 초기화 단계 : 선언은 했고, 아직 할당은 하지 않은 단계로 선언된 변수에 아직 아무것도 값이 담겨있지 않고, 변수를 위한 메모리를 만드 는 단계로, 이 단계에서 메모리에는 undefined로 초기화 [3] 할당 단계 : 사용자가 undefined로 초기화되어있는 메모리값이 담겨있는 변수 안에 값을 할당하는 단계 [ 상태 ] [1] Hoist..